분류 전체보기 137

[구글애즈] 검색광고, 내가 설정한 키워드에서 비용이 나가는게 아니라면?

검색광고가 광고비가 소진이 안되고 있었는데어느날 광고비가 나가기 시작했다.그런데 설정한 어느 키워드에서도 광고비가 지출이 안되고 있다.그럼 어디서 나가고 있는걸까?  정답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검색광고라도, 소진되지 않은 광고비를 지출하여 노출을 늘려주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텍스트 형태의 검색광고를 노출시켜주는 기능이 있다. 바로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체크를 하게되면, 유튜브 / 그 외 제휴 사이트 / 지메일 등에 배너 형태이지만 텍스트로 노출이 된다. * 노출은 확실히 활성화 되지만, 클릭수는 노출에 비해 굉장히 적다 (클릭률이 낮고, 노출이 유의미하지는 않다고 생각됨)* 차라리 제외하고, 이미지를 제작해서 디스플레이 광고를 라이브하는게 더 효율이 좋을 듯 하다

마케팅 플랜 세우기(타겟 설정, 전략)

뾰족한 타겟팅“모두를 타겟팅한 마케팅은 아무도 타겟팅하지 않은 것과 같다”중소기업의 한정된 예산과 자원 → 한 군데 집중하지 않고, 넓은 범위로 리소스 쏟은 경우 퍼져나감.광고를 보고 딱 내 이야기다 공감할 수 있어야 타게팅이 가능하다.특별한 판매전략의 필요성왜 이 물건을 사야하는가?왜 우리 가게에서 사야하는가?→ 명품시계 광고 : 정확한 시간 x , 이걸 착용함으로써 멋져보이고 과시할 수 있음 o→ 이 물건 자체의 스펙을 내세우는게 아닌, 이걸 사용함으로써의 결과를 어필해야 함명확한 광고의 목적모든 목적을 다 이루고, 매출까지 이어지는게 쉽지 않음.들어와서 뭘 해야하는지 → 그러면 얻을 수 있는게 무엇인지 (o) :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함.그냥 클릭하고 들어와서, 상세페이지 보고, 가입도 ..

[PUBLY]PM의 올바른 VOC 해석 방법 (진짜 문제 해결방법)

더보기*VOC : voice of customer (고객의 소리)VOC를 올바르게 정의하기 위한 체크리스트1. 누구의 불편함인가? (핵심 타겟의 불편함이 맞는가?)우리 서비스의 핵심 타겟은 누구인가? (핵심 타겟이야 말로 RFM / 리텐션 등 핵심적인 지표를 올려주는데 기여함.)그렇다면, 해당 불편사항을 말하는 고객은 핵심 타겟에 속하는가? EX. 유기농 채소로 음식을 만드는 가게 -핵심 타겟 : 유기농 채소의 중요성을 아는 고객 → 유기농 채소라서 맛도 없는데 비싸기만 해요! : 핵심 타겟이 아닌 고객의 VOC → 모두 개선을 고려하지 말 것.더보기[선악과즙 젤리탕]* 핵심 타겟 : 연인과의 데이트를 위해 제품을 구매하는 사람→ 혼자 쓰는 사람을 위한 상세페이지를 제작하는 것 : 핵심 타겟을 위한 정보..

페이스북 광고 카피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_"카피는 타겟이다"

페이스북 광고에서 전략적으로 카피를 쓰고 광고를 운영하기 위해서 가장 1순위로 신경써야 할 것은 타겟 풀이다. 페이스북 광고 전략적으로 운영하기 01. 타겟 설정 우선 여기서 말하는 타겟 설정은 세팅상의 설정이 아니다. 페이스북에서 지양해야 한다고 하는 중요한 핵심은, 광고의 타겟 풀을 좁히는 것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광고를 접할 수 있는 전체 모수는 굉장히 큰데 굳이 타겟을 좁게 운영하면 비효율적인 광고가 된다. 페이스북은 특히 머신러닝이 다른 광고에 비해 고도화되어 있으니 광고에 앞서서 굳이 타겟을 좁히는 행동은 옳지 않다. 그렇다면 타겟 풀을 가늠하고, 타겟을 정한다는 것은 무엇으로 설정할 수 있을까? 바로 '카피'이다 02. 카피는 타겟을 의미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광고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

상세페이지 준비, 기획, 작업 순서 및 꿀팁

상세페이지 기획 전 준비 상품 기획자에게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받는다 제품의 기본적인 성분, 사이즈, 컬러, 상품명 등 -> 당연하게 상세페이지에 녹아야 하는 부분 제품의 타사 대비 강점, 기능 등 -> 우리가 어필해야 하는 부분(상세페이지의 원메세지) 경쟁사, 타사 제품을 서칭하여 어떤 특장점을 갖는지 탐색한다. 상품 기획자와 1,2번을 토대로 회의를 통해 기획자의 상품 기획 의도 등을 논의하며, 큰 방향성(핵심 무기 등)을 잡는다. 일정 픽스 기획 마감, 디자인 1차가안 마감, 촬영일, 최종 라이브 상세페이지 기획 타사 레퍼런스를 최대한 많이 활용한다. 자주 쓰이는 워딩 가장 자세하게 설명하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색상? 기능? 등) 필수 요소 상세페이지의 원메세지를 정하고, 서브 강점을 설정..

ROAS가 좋지 않을때 무조건 예산을 줄이는게 답일까? 광고의 예산과 효율

페이스북 광고 효율에서 ROAS가 거의 100에 가깝게 나오고 CAC가 급격하게 상승해서 성과가 좋지 않을때 이론적으로 생각해보면 성과가 좋지 않으니 예산을 줄이는게 맞다고 생각했다. 그러면 핵심 타겟에 더 집중을 하니까 ROAS가 안정화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을 경우도 있다는 점을 이번 업무를 통해 알게되었다. 광고비와 효율의 관계 - 퍼포먼스 마케팅을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예산을 증액하면서 효율(ROAS)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 우리의 핵심 타겟 (전환할 확률이 높은 타겟)에서 점점 벗어나서 그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1만원이면 전환이 일어났던 타겟이 점차 2만원을 지출해야 데려올 수 있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래서 예산을 줄이는건 큰 상관이 없지만, 늘리면 머신러..

페이스북 cpm이 소재 수,예산과 연결되는가?

문제 상황새로운 광고 계정을 생성하여 첫 광고를 라이브함. 1. 예산 3만원 2. 광고 소재 수 6개 정도 [가설1] 페이스북 CPM은 예산 및 소재수와 연관성이 있다라이브 후, CPM이 4-5만원이라는 말도 안되는 수를 보여줌. 당연히 페이스북에서는 예산대비 소재의 수가 너무 많아서, 입찰 경쟁에서 밀리니까 노출이 안돼서 CPM이 높다는 답변을 받음 ACTION. -광고 소재 3개 OFF RESULT. - CPM 변동 없음.[가설2] 소재에 반응하는 풀이 좁아서 CPM이 높다. CPM이 높다는 것은 풀이 좁다는 의미를 뜻한다. 풀이 좁은 것은, -예산이 적어서 풀이 좁을 수도 있지만 -소재에 반응하는 고객이 좁아서 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소재의 소구점을 다양화하여 영상, 단일, 캐러셀 등 다양한 폼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