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Python 9

[Python] chapter 05. 컬렉션으로 데이터 모으고 정리하기 _시퀀스(리스트, 튜플, 문자열)

컬렉션 : 데이터 모으고 정리하기 -데이터의 양이 많고, 집합의 성격을 갖는 데이터는 '컬렉션'을 활용해야 한다. (도서관에서 책에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번호를 붙이는 것과 같음) ex) 연락처(이름, 전화번호) *컬렉션 시퀀스 매핑 집합 시퀀스 -데이터에 순서를 붙여 나열한 것 -파이썬은 리스트, 튜플, 레인지, 문자열 등 여러가지 시퀀스 컬렉션을 제공 1. 리스트 [ ] 대괄호를 활용하여 표현 수정이 가능한 시퀀스 *리스트 시퀀스에서 많이 활용되는 메서드 -소개되는 메서드는 수정하는 메서드임, 그러므로 튜플 등 불변 시퀀스에서 적용이 불가 -extend() 대신 += 으로 연산해도 됨. [실무] 리스트로 연락처 관리하기 -위치찾는 연산이 '0'을 찾는 것이 아니라, 0위치에 있는 요소를 찾아오는 것 ..

Data/Python 2022.10.01

[Python] chapter 04. 데이터의 유형_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데이터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데이터 -컴퓨터과 판단하기 위해서는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데이터가 필요함. 불(bool) 데이터 -True -False ※수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와 달리 두가지만 존재하며, 대문자 소문자 구분을 잘해서 쓰자! *논리연산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ga에서 and/or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and는 좌변 우변 모두 성립해야하고, or은 한쪽만 성립해도 된다) -not 은 반대로 뒤집을 때 ex) not True >> False *거짓으로 평가되는 예외 값 데이터 유형의 확인과 변환 1. 데이터 유형의 확인 type() 2. 데이터 변환 -데이터 유형의 '클래스명'은 데이터를 그 데이터 유형으로 변환하는 함수의 이름과 같다. ▶변환이 필요한 경우 - 문자열은 문자열끼리만 연..

Data/Python 2022.09.28

[Python] chapter 04. 데이터의 유형_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

문자 형식의 데이터 문자열 표기 문자열 데이터를 파이썬 코드에서 나타내려면 텍스트를 '," 둘중 하나로 감싸 표기하면 됨. 단, 작은 따움표를 데이터 안에서 나타내고자 한다면, 큰 따움표로 감싸거나, 이스케이프를 활용해야 한다. ex) 'today's coffee' (x) "today's coffee"(o) or 'today\'s coffee' (o) *이스케이프 활용 \ - ' - " - n 개행문자 ( 다음 행으로 바꿈 기능?) r 개행문자 (커서를 행의 앞으로 이동, 잘 사용하지 않음) t 탭 문자 *개행문자 n, 대신할 방법은? -행바꿈이 많이 일어나는 경우 \n을 매번 사용하면 힘들다. 그럴경우 대체 방안은? (세 따움표로 감싸기) -세 따움표로 감싸서 활용하면, 실제 행을 바꿔서 개행을 표현하..

Data/Python 2022.09.27

[Python] chapter 04. 데이터의 유형_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데이터의 값과 유형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수로 처리한다. -미리 정해진 약속에 따라 정보를 수로 나타내는 것 : 부호화 데이터는 값과 유형으로 구성된다. 값은 수로 표현된 정보이며 유형은 그 수를 취급하는 방법이다. 유형이 무엇인가에 따라 가질 수 있는 값과 적용할 수 있는 연산이 다르다. 1.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2. 텍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 3.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데이터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1. 정수 : (+,-)가 자연수에 붙은 형태 (int) ex) 0, 15,-15 0o77 (팔진수) 0xff (십육진수) 아, 십육진수구나~ 알 수만 있도록 하기 2. 실수 : 소수점 아래까지 표현할 수 있는 수 ex) -0.1356 *과학 표기법 -매우 작거나 큰 수를 표기하는 방법으로, 읽을 줄 알아..

Data/Python 2022.09.26

[Python] chapter 03. 매개변수 유연하게 사용하기

매개변수 -기본적으로 매개변수는 함수마다 개수가 정해져있고, 함수가 받아야하는 데이터도 그 개수에 맞게 전달되어야 한다고 알고있다. 그러나, 1. 매개변수에 전달할 값을 생략하거나 2. 순서를 원하는 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개변수의 기본값 설정하기 (매개변수 생략) -'굳이 매개변수를 입력하지 않고 생략하면 이 데이터로 계산해줘!' 라고 설정하고 매개변수를 생략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본값 설정하기 def 함수에서 정의할때 '='으로 기본값을 설정한다. -앞에 있는 매개변수를 기본값을 설정한다면, 뒤에 매개변수도 기본값을 설정해야 함 특정 매개변수만, 순서 변경하여 전달하기 -매개변수에 값을 전달하려면, 매개변수의 순서대로 입력하는 것을 기본으로 ..

Data/Python 2022.09.22

[Python] chapter 03. 함수정의하여 불러오기 _ 함수정의(def), 반환(return), 전역변수/지역변수

함수란 무엇인가? -전체의 큰 문제(프로그램)을 풀어가기 위해서는 작은 문제(함수)로 나누어서 풀어야 한다. 매번 위의 복잡한 과정을 계속 코딩할 순 없기 때문이다. *함수 실행 print() abs() name = input() ▶함수를 실행한다는 것은, 1. 데이터를 출력, 2. 수를 계산하는 것, 3.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 모두가 해당된다. (규칙) 1. 괄호 속의 데이터가 함수에 전달된다. 2.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실행한다. 3. 실행할 파이썬 코드가 없으면, 함수 실행이 종료되며 결과가 반환된다. 1. 함수 정의하기(def) -코드를 묶어서 이름을 붙이는 작업을 함수 정의라고 한다. *규칙 def 정의할 함수 이름() : -콜론을 꼭 붙인다. 들여쓰기 4칸을 하여, 정의할 함수에..

Data/Python 2022.09.22

[Python] chapter 02. 변수 대입하여 계산하기/연습문제 2-5/input, int

변수에 대입하기 *변수는 이름과 같다 -변수는 변수에 대입해둔 데이터의 이름과 같다. 데이터를 수정이나 읽으려고 할 경우 지정해둔 이름이 있어야 가리킬 수 있다. *변수의 이름 지정 규칙 1. 다양한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2. 숫자로 시작하지 않는다. 3. 연산자(*,+,-,=)와 공백기호를 사용할 수 없다. 3.시스템 예약어(for, if, while 등)를 사용할 수 없다. ※간단한 x,y와 같은 변수 이름을 사용해도 문법상 무방하나, 변수는 이름이다. 다른 사람이 봤을때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에, 변수명은 명료하고 의미있게 작성한다. *대입하기 -대입은 대입연산자(=)를 활용 ▶동등 연산자(==)와 달리, '대입'을 할 때 쓰이는 연산자로, '같다'의 의미가 아닌 '대입해라'의 ..

Data/Python 202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