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ing/마케팅 지식 35

마케팅 플랜 세우기(타겟 설정, 전략)

뾰족한 타겟팅“모두를 타겟팅한 마케팅은 아무도 타겟팅하지 않은 것과 같다”중소기업의 한정된 예산과 자원 → 한 군데 집중하지 않고, 넓은 범위로 리소스 쏟은 경우 퍼져나감.광고를 보고 딱 내 이야기다 공감할 수 있어야 타게팅이 가능하다.특별한 판매전략의 필요성왜 이 물건을 사야하는가?왜 우리 가게에서 사야하는가?→ 명품시계 광고 : 정확한 시간 x , 이걸 착용함으로써 멋져보이고 과시할 수 있음 o→ 이 물건 자체의 스펙을 내세우는게 아닌, 이걸 사용함으로써의 결과를 어필해야 함명확한 광고의 목적모든 목적을 다 이루고, 매출까지 이어지는게 쉽지 않음.들어와서 뭘 해야하는지 → 그러면 얻을 수 있는게 무엇인지 (o) :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함.그냥 클릭하고 들어와서, 상세페이지 보고, 가입도 ..

[PUBLY]PM의 올바른 VOC 해석 방법 (진짜 문제 해결방법)

더보기*VOC : voice of customer (고객의 소리)VOC를 올바르게 정의하기 위한 체크리스트1. 누구의 불편함인가? (핵심 타겟의 불편함이 맞는가?)우리 서비스의 핵심 타겟은 누구인가? (핵심 타겟이야 말로 RFM / 리텐션 등 핵심적인 지표를 올려주는데 기여함.)그렇다면, 해당 불편사항을 말하는 고객은 핵심 타겟에 속하는가? EX. 유기농 채소로 음식을 만드는 가게 -핵심 타겟 : 유기농 채소의 중요성을 아는 고객 → 유기농 채소라서 맛도 없는데 비싸기만 해요! : 핵심 타겟이 아닌 고객의 VOC → 모두 개선을 고려하지 말 것.더보기[선악과즙 젤리탕]* 핵심 타겟 : 연인과의 데이트를 위해 제품을 구매하는 사람→ 혼자 쓰는 사람을 위한 상세페이지를 제작하는 것 : 핵심 타겟을 위한 정보..

[publy]상세페이지 기획부터 촬영, 제작까지 모든 과정의 필수 체크리스트!

팔리는 상세 페이지에는 '이것'이 있다! 와디즈 에디터의 제작 노하우 내 상세페이지는 도대체 뭐가 문제일까? publy.co 상세페이지 제작 프로세스 1. 기획자의 상세페이지 기획 2. 레퍼런스 서칭 3. 촬영자에게 전달 (+촬영 준비) 4. 보정 및 수정 5. 상세페이지 전달 1. 기획자의 상세페이지 기획 1. 원 메세지를 정한다 2. 그 외 요소들 (이미지, 색, 카피, 설명글 등)을 원 메세지와 통일시킨다. 원메세지에 맞는 기획하기 - 제품의 강점을 여러개 나열을 해서 이 중 하나에 걸려들어라! 라고 하는경우, 장기적으로 오히려 만족도가 떨어지고 역효과가 있을 수 있음 -하나의 강점을 원 메세지로 잡고, 이 메세지를 원치 않는 고객은 쳐내는게 오히려 맞음! [케이스 스터디 : 원메시지-장인정신] 1..

[publy] 이커머스 프로모션 기획 (가격구성 및 체크리스트)

1. 상품의 조건 확인하기 * 프로모션 조건1 : 혜택을 붙이니 더 사고 싶은 상품(매출의 상위권을 차지하는 제품)이 있는가? * 프로모션 조건2 : 혜택을 볼 수 있는 원가구조인가? [상품a] -원가율이 낮다 > 할인율을 높게 잡을 수 있는 여유가 있다. -자주 구매할 수 있는 소모품 > 재구매율이 비교적 높으므로, 할인율 높게잡아서 구매 [상품b] -원가율이 높은 편 > 할인율을 높게 잡을 수 없음 -비교적 판매가가 높음+할인 자주 안했음> 평소 할인을 많이 하지 않았던 제품이기에 a보다 낮은 할인율에도 구매전환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 2. 프로모션 기획 프로모션의 명분이 무엇인가? -가정의 달, 기념일, 새해, 연말, 1주년, 연례행사, 신상품 출시기념, 히트템 1만개 돌파 기념 등 >> 외부 이슈의..

그로스 해킹_(6)AARRR-수익화

수익화 -대부분의 사업이 그렇듯 파레토 법칙에 따라 일부 유저가 대부분의 매출을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평균값을 사용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그룹을 여러가지의 기준으로 묶어서 분석하고 전략을 차별화하여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수익화 관련 주요 지표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사용자 당 매출의 평균 -기본적으로 한달을 기준으로 계산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지불 사용자 당 매출의 평균 LTV (고객 생애 가치) -(1인당 평균 매출 - 1인당 평균 비용)/1-고객 유지 비율+할인율 – 획득비용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런 식의 계산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 ▶대체 : LTR(고객 생애 매..

그로스 해킹_(5) AARRR-리텐션

리텐션 -리텐션 개선은 사용자의 경험 전반에 걸치 섬세한 분석과 개선이 필요하다. *리텐션 측정 기준 1. 클랙식 리텐션 : N일 후에 특정 이벤트(접속, 구매, 버튼 클릭 등) 를 발생시킨 유저의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 -특정 요일을 기준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반복이나 지속성이 무시되고 노이즈에 민감하다 (어쩌다가 들어온 사용자가 함께 집계될 수 있고, 반대로 어쩌다 들어오지 않은 사람도 제외될 수 있음) EX)짧은 주기로 반복적으로 활용하는 SNS와 같은 서비스에 적절 2. 범위 리텐션 : 일정 기간을 기준으로 들어온 사용자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 -측정 기간을 길게 설정할수록 과대 추정이 될 가능성이 높다 EX) 일정 간격을 두고 꾸준히 활용하는 음식배달 서비스에 적절 3. 롤링 리텐션 : 마지막 접속일..

그로스 마케팅_(4) AARRR-활성화 단계

활성화 : 사용자가 유입되고부터 아하 모먼트(서비스의 핵심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것. 아하 모먼트를 경험하는 경로(크리티컬 패스)을 퍼널별 나누어서 전환값을 설정하고 활성화 지표를 측정하는 것이 핵심! -퍼널을 최적화 시키기 위해 전환률을 높이는 것보다, 필요 없는 퍼널을 삭제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도 함. -간혹, 퍼널을 개선하지 못하는 경우 퍼널을 재구성하는 것도 고려하기 -활성화 단계에서 높은 활성화 지표는 리텐션과 연관이 크기 때문에, 소비자가 핵심 가치를 경험했는가 아닌가는 매우 중요한 관점임. *전환률 측정 기준 정하기 예시) 사용자A,B,C,D별로 상품 1,2,3,4,5를 조회하고 결제시 전환률을 어떻게 계산할 것인가? 1. 트래픽 기준 2. 사용자 기준 ▶전반적인 부분에서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로스 해킹_(3)AARRR - 획득 이해하기

1. 획득 : 고객 유치에 기여한 채널의 성과를 판단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 핵심 *Point 1. 어떻게 하면 사용자의 유입 채널을 최대한 누락없이 수집할 수 있을까 ▶ "식별 vs 미식별”의 관점으로 해석 -‘oraganic’의 paid에 대한 비중을 늘리자!’ (x) 미식별의 비중을 줄이자!의 관점으로 해석해야 함 (o). -웹 : UTM과 GA / 앱 :어트리뷰션 EX)앱스플라이어 *Point 2. 각 채널별 성과를 어떻게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까? ▶어떤 채널을 통해 들어온 어떤 행동을 한 사람이 결국 결제를 하는가!를 측정할 수 있어야 진정한 채널의 가치를 알 수 있음 *어트리뷰션 윈도우 : 기여 이벤트에서부터 전환까지의 구간 -백 윈도우 : 기여 이벤트가 있고 난 후 며칠내로 전환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