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공부 DAY01

세그먼트를 보는 이유
*심슨 패러독스
- 전체를 봤을때 vs 데이터를 쪼개 보았을때
>> 전체에서 보이지 않은 새로운 인사이트를 알게될 수 있다.
-기기별로 나눠서 맹신하는 것은 좋은 해석이 아니다.
>> 제품을 접할땐 모바일이 많지만, 실제 구매시에는 pc가 많은수 있다. ( 어떤 단계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pc로 몰빵하자! 는 나쁜 자세이다.
pc가높네, 모바일이 낮을이유가 없는데 왜 낮지? 문제가 있을까? 라는 접근이 건강한 접근법이다.
*코호트 간 상이한 행동 패턴
: 세그먼트 중 시간을 기준으로 동질집단을 나눈것을 코호트라고 함
<세그먼트별 특징 파악하는 방법>
*세그먼트 : 특정 특성에 따라 분류한 그룹을 의미함. EX) 구매자 집단 / 비구매자 집단
- 세그먼트를 생성한다(조건 세그먼트, 순서 세그먼트의 경우 '관리>세그먼트'에서 생성 가능하다)
- '잠재고객>개요'에서 세그먼트를 설정한다.
- 각 세그먼트별 세션수, 세션당 페이지수, 머무는 시간 등을 확인하여 비교 분석한다.
[세그먼트>조건>이벤트]
ex)물건을 담은 세그먼트 설정!
-이벤트 설정하고 그것을 조건으로 세그먼트를 설정하고싶다.
-만약 이벤트 설정이 안되어있다? > 페이지 조회로 설정
but,
이벤트 설정과 페이지 조회는 엄연히 다른 숫자임.
장바구니에 담긴 했지만, 장바구니에 들어오지 않아서 페이지로 조회가 안된경우 있음 ( 장바구니로 갈래 쇼핑계속할래?)
[세그먼트>순서]
-특정 페이지를 거쳐서 다음 페이지로 가는 세션 측정
-페이스북을 통해 유입되고, 홈페이지에 들어와서 구입하는 사람
>> 만약 홈페이지에서 구매하고 페이스북으로 가서 유입을 해도 (순서가 반대여도) 카운팅 될 수 있으니, 순서 조건을 넣어주는것
▣<실전> 구매확률이 높은 사용자에게 쿠폰 돌리기
한정된 쿠폰 배포는 아무나에게 하기보다는, 높은 사용자에게 돌리는 것이 효율적.
구매확률이 높은지 아닌지 구분하기 위해서는, 구매자와 비구매자를 따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징을 뽑아내고, 방문자가 어느 특징에 가까운지 확인하고 쿠폰을 돌리는 것이 적절하다.
→구매자&비구매자, 모바일&데스크톱 트래픽, 회원가입한 사람&안 한 사람
[과정]
- 구매자와 비구매자의 구분은 ‘주문 완료 페이지’에 접속했는지 여부로 알 수 있다.
- 세그먼트에 ‘고급 >> 조건’으로 들어가서 ‘페이지>>다음을 포함>>/ordercomplete.html’로 설정한다(= 구매자 세그먼트 완료)
- 비구매자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이 세그먼트에서는 ‘포함’이 아닌 ‘제외’를 선택하여 저장한다 (=비구매자 세그먼트)
- 모든 구매자 세그먼트를 제외한 구매자와 비구매자를 비교한다.
*사용자당 세션 수 , 세션당 페이지수, 평균 세션 시간을 중심으로 비교
대체적으로 구매자의 경우 세션당 페이지수도 훨씬 많고 평균 세션 시간도 비교적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위의 결과를 기준으로 평균 세션 시간, 세션당 페이지수를 정하고 그 조건에 충족되면 쿠폰을 배부하는 식으로 시행한다.

<사용자 흐름 파악하기>
"어느 페이지로 들어와서 어느 페이지로 유입되고 이탈되는지 사용자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

*알아둬야 할 기능
-이 통과한 트래픽 강조 (마우스 클릭 시 나온다)
-세그먼트 설정 가능
-유입 기준을 국가 아닌 브라우저, 소셜 네트워크 등으로 설정 가능.
'Google > 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07] GA/ 유입키워드 확인하기/ search console 시작하기 (0) | 2021.07.06 |
---|---|
[DAY06] GA/ 유입 채널 효율 분석하기 (0) | 2021.07.06 |
[DAY05] 구글애널리틱스 / 목표 보고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설정) (0) | 2021.06.25 |
[DAY 04]구글애널리틱스/ 이벤트 보고서 활용 사례 (0) | 2021.06.24 |
[DAY02] 구글애널리틱스 / 이벤트 보고서 분석하기(회원가입 버튼 분석시) (0) | 2021.06.08 |